춤, 현장

토미 조이긴ㆍ케네스 스피테리ㆍ김형민 〈떠나온 사람들의 이야기〉
전문무용수와 함께 만든 북한이탈주민들의 무용극
이보휘_<춤웹진> 기자

 

 

 

 문화역서울284 RTO에서 열린 <떠나온 사람들의 이야기>(11월 13-14일)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있다. 서울문화재단(대표 조선희)과 NGO단체 ‘새롭고 하나된 조국을 위한 모임‘(이하 ‘새조위’)의 주최로 이루어진 이번 공연은 해외이주 예술가들로 구성된 프라미스 팀(Promise Team)과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이 함께 공연자로 참여했다.
 프라미스 팀(Promise Team)은 스위스 출신의 안무가 토미 조이긴(41ㆍTommi Zeuggin), 호주 출신의 드라마터그 케네스 스피테리(40ㆍKennth Spiteri), 한국 출신의 안무가 김형민(36) 등 독일에 살지만 서로 다른 국적의 이주민 예술가들로 구성됐다. 이들은 낯선 땅에서 이주자로 살아가야 하는 자신의 삶을 지난 2010년부터 공연예술로 표현하고 있다. 이번 공연에서는 토미 조이긴이 연출 및 안무를, 김형민이 안무 및 출연을 맡았고, 케네스 스피테리가 드라마터그로 참여했다.

 



 <떠나온 사람들의 이야기>는 프라미스 팀의 2010년 베를린 초연작 <게스트>(Guest)를 토대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사선을 넘나드는 고군분투 속에서 살아남은 북한이탈주민의 이야기를 통해 삶에 대한 인간의 욕구와 의지를 무용극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이번 공연을 위해 실제로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4명이 오디션을 통해 선발됐다. 그들은 무대에 섰을 때는 당당했지만 신문에 이름이 오르는 것을 꺼려해 프로그램 북에도 그들의 이름을 찾아볼 수는 없다. 이러한 사소한 부분에서 조차도 우리는 그들의 마음속 깊이 상존하고 있는 그들만의 아픔을 느낄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보니 이번 공연은 무용공연임에도 무용인들보다는 남북관계, 통일, 북한이탈주민 등의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 큰 주목을 받았다. 10월 14일(금), 현장을 찾았을 때도 양복을 입고 있는 중년의 남성과 중년의 여성들이 특히 눈에 많이 띄었다.
 공연 전 바라본 무대에는 모래가 깔려있었고, 싸늘한 바람소리가 들리고 있었다. 문화역서울284 RTO공연장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스산한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무대였다. 출연진들은 모래 위를 원을 그리며 끊임없이 걸었고, "그저 오늘 하루를 살았다는 것만으로 감사하며 살아왔다"는 대사를 남겼다. 북에서 남으로 내려오기 위해 끊임없이 걸어야 했던 그들의 고통이 전해졌다.
 아들을 두고 남편과 함께 남으로 내려오던 도중 남편은 경비병의 총에 다리를 맞았고, 나의 손을 놓고 먼저 빨리 가라는 남편을 두고 혼자 내려올 수밖에 없었다는 대사를 할 때는 객석 곳곳에는 훌쩍이는 소리가 들려왔다. 그녀가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동안 다른 이는 바닥에 주저 앉아있기도 하고, 다른 이는 그녀의 아픔을 춤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그들은 그들의 경험을 이야기로 들려주기도 하고, 움직임으로 보여주기도 하였다. “강을 건너 둑을 넘고, 철조망을 뛰어 넘어”라는 대사를 하면서 움직임을 할 때는 당시의 긴박함이 느껴졌다.
 서로가 ‘컨택’(접촉)하면서 만들어내는 움직임들이 많았고, 그러한 움직임들은 같은 고통과 아픔을 경험하면서 형성된 유대감을 보여주는 듯 했다. 한 달 보름 정도 연습했다는 그들의 노력이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움직임은 자연스러웠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움직임에만 너무 집중한 나머지 감정이 제대로 드러나지 못한 장면이었다. 아픔을 전달하기 위한 움직임이 아닌 움직임을 위한 움직임으로 보인 장면을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학교에서 단체로 공연관람을 왔다는 김온유 학생(18세)은 “이런 공연 처음 봤는데 새로워서 좋았다. 공연을 보면서 동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하면서 봤다”라고 관람 후기를 전했고, 무대에서 눈을 떼지 못했던 신경숙 씨(58세)는 “가슴이 찡하고, 마음이 아프다. 그들의 움직임이 슬로우 비디오를 보는 듯했고, 당시 그들의 감정이 와 닿았다. 움직임이랑 어울리는 대사도 좋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공연은 모든 관객을 만족시키지는 못한 듯했다. 공연 중간에 졸고 있는 관객들을 발견할 수 있었고, 공연이 끝나기 전에 나가는 관객도 볼 수 있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 관객은 “사실 무용을 전공했고, 내일 북한이탈주민과 무용 워크샵을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하면서 “과연 이번 공연을 통해 그들의 상처가 치유 됐을지는 의문이다”라고 하였다.
 <떠나온 사람들의 이야기>는 작품이 갖고 있는 컨셉트만으로도 의미 있는 작업이다. 출연자 중 한 분인 노모 씨는 “움직임을 배우는 것은 힘들었지만 우리들의 이야기를 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힘이 된다”라고 하였고, 또 다른 출연자인 이모 씨는 “너무나 고통스러웠던 기억을 다시 끄집어내는 것이 너무 힘들었지만 이 공연을 통해 우리 북한이탈주민들의 고통과 마음을 통일을 하고자 하는 단체나 국민들에게 알려 통일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공연에 임했다”라고 밝혔다.
 이 공연은 북한이탈주민들에겐 본인들의 상처가 치유되고 안 되고를 떠나서 하나의 염원이었을 것이다.
 공연을 지켜 본 춤비평가 이만주는 “독일에서 활동하는 무용가인 김형민은 탈북자들의 극한 상황을 춤 작품으로 만들어 계속 공연하면서 세계의 소외계층인 난민의 문제를 전세계인에게 환기시키고 있다. 이번 <떠나온 사람들의 이야기>는 지난 5월 서울에서 공연했던 〈Guest〉의 다른 버전이라 할 수 있는데 새터민 4명을 오디션으로 선발하여 같이 공연했기에 가슴 뭉클했고 감동이 컸다. 커뮤니티 댄스의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다”라고 촌평했다.
 최근 기술적 측면이 강조된 움직임보다 움직임이 품고 있는 이야기, 움직임이 품고 있는 감정이 중요시 되는 공연들이 무대에 오르고 있다. <떠나온 사람들의 이야기> 또한 테크닉이 뛰어난 전문무용수가 아닌 고통을 직접 경험한 북한이탈주민들을 직접 출현시킴으로써 움직임에 진심을 담고자 하였다.
 이는 빠르게 진행되는 근대화 속에서 서양 무용의 외형적 모습만 따라가기 급급했던 한국의 컨템포러리 댄스가 춤의 본질을 찾는 또 다른 과정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



안무가 김형민의 말

이주민들의 삶을 통해 나 자신을 돌아본다



 2014년 5월 복합문화공간 플래툰 쿤스트할레에서 공연했던 〈GUEST〉 작업 당시 ‘인간들의 삶에 대한’ 열정을 담아내고 싶었고, 그러다 보니 아프가니스탄이나 시리아 등 어려운 나라에서 탈출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많이 듣게 되었다.
 초반에는 그분들의 숨겨진 이야기를 드러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작업을 계속 진행하면서 깨달았던 것이 저희가 감히 그들의 이야기를 공연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방식이 아닌 그분들의 삶을 기리는 방식으로 작업을 하게 되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힘들었던 경험을 이야기 하고 싶어 한다는 것을 들었을 때 이것은 우리가 한계로 느꼈던 부분들이 충족이 아닌 표현을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무엇보다 그분들의 숨겨진 이야기를 무대 안에 올린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게 되었다.
 사실 무대라 함은 항상 스펙터클한 무언가가 펼쳐지는, 예술적인 무엇인가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숨겨진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낼 수 있고, 그것을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이 무대이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베를린으로 이주를 하면서 이주민들의 삶에 대한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요즘에는 김형민이라는 나 자신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솔직히 무대가 나만의 이야기를 하는 곳이 되면 안 된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한편으로는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사회적인 것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내 자신에 대해 깊게 연구해보고 그것을 통해 관객들이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2014. 12.
사진제공_홍은예술창작센터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