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대구시립국악단 〈별신〉
춤과 노래로 신을 내리고 안녕을 빌다
권옥희_춤비평가

대구시립국악단(객원안무: 장유경)이 ‘굿청’을 열었다. 춤으로 신을 내리게 하고, 노래로 신을 즐겁게 한 뒤, 시민들의 안녕을 빌고 안부를 묻기 위한 〈별신〉, 굿.
 “쾌지나 칭칭나네”, 흰색 장삼에 마이크를 든 무용수(곽나연)가 정가 발성으로 ‘쾌’에 몸을 웅크리고 ‘지나’에 몸을 굴린 뒤 ‘칭칭나네’를 한숨처럼 뱉는다. 다시 ‘쾌지나 칭칭나네... 쾌...’를 반복하며 무대를 여는 〈별신〉(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 11월5일). 메기는 소리가 없다. 이미 알려진 소리의 의미와 속성으로 한계를 짓고, 안무자(장유경)의 의도와 관객의 의도를 가르게 될 것이란 것을 알기 때문이다. 간결하고 영리한 연출이었다.




대구시립국악단 〈별신〉 ⓒ옥상훈




 2장의 ‘문굿’, 무대 천장에 걸린 가느다란 흰색의 나무 기둥들. 성황당 나무에 둘러쳐진 알록달록 천조각이 걸린 금줄이다가, 마치 하늘과 땅 사이에 난, 신들이 몸을 바꿔 오르내리는 빛으로 낸 길 같기도.
 남자와 여자가 무대 깊은 곳, 돌무더기 쪽을 향해 절을 한다. 예를 갖춰 공손하게 . 그곳이 성황당이건 무엇이건 간에 빌고 또 빌 일이다. 나무기둥 숲이 엇갈려 오르내리는, 마치 귀신들이 노니는 듯한 무대는 이승과 저승의 시간이 다르지 않고 잠시 삶과 죽음의 경계가 흐려지면서 춤은 더 아득해진다.
 여자(김순주)가 흰색 의상에 족두리를 쓰고, 한쪽 무릎을 세운 채 고요하게 앉아 있다. 마음 깊숙이 눌러두고 있는 희노애락의 상태는 두 손을 모아 엎드리면서 이내 춤으로 일어난다. 나무기둥 숲으로 혼이 내려오고, 춤을 춘다. 혼맞이 춤. 나무기둥 숲이 색을 번갈아 입으며 말을 하고 김순주가 그 말을 알아 듣고 제 말(춤)로 옮긴다. 무대에서 일어나는 에너지를 혼자 오롯이 춤으로 받아 내는 것이 힘에 부쳐 보였다.






대구시립국악단 〈별신〉 ⓒ옥상훈




 3장, ‘별신’. 마치 넋을 담아 든 듯, 치마를 펼쳐들고 춤을 춘다. 여자, 그 뒤에 서 있는 남자, 서 있다가 앉고, 다시 일어서고 앉는다. 남자들이 어슬렁거리며 힘을 뺀 채 건들 흔들 추는 춤에 흥취가 가득하다.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며 추는 춤에 생기는 흥취는 4장 ‘꽃노래’로 이어지며 타오른다.
 한 줄로 뒤돌아 있던 남자들이 현악기 줄에서 튀어서 나온 음처럼 하나 둘... 위로 튀듯 솟아올랐다가 가라앉으며 이내 꽹과리 소리를 앞세운 국악단의 연주에 화답하듯 자유롭게 연주음악에 춤을 싣는다. 춤은 스스로들 춤의 취기를 리듬으로 삼아 춤의 흥취를 이어가며 또 다른 흥취를 만들어낸다. 한국춤을 추는 여덟 명의 객원 남자무용수는 대구 춤의 또 다른 자산으로 동력이 되고 있다는 데 그 특별함이 있다.






대구시립국악단 〈별신〉 ⓒ옥상훈




 이어 시립국악단 여자무용수 11명이 추는 ‘선살풀이’ 군무, 이채로웠다. 음악과 함께 무대를 휘돌아 나오며 시작되는 춤은 전통춤에서 보지 못하는 독특한 형식의 아름다움을 가진 춤이었다. 부채에 달린 명주천을 하늘과 땅에 뿌리고 날리며 추는 담백하고 선명한 춤이 11명이 동시에 추면서 그려내는 분망한 춤 선으로 인해 그 아름다움이 채 드러나지 않은 점, 아쉬웠다.






대구시립국악단 〈별신〉 ⓒ옥상훈




 5장, ‘그리고 내일’. 무대는 다시 고요하다. 응축된 에너지를 춤으로 풀어내는 김용철의 춤을 위에서 가로지르며 내려오는 설치물이 경계를 만든다. 김용철이 경계의 선을 고요하게 바라본다. 경계의 그물에 걸려들지 않는 정신, 지금껏 쌓아온 것에 함몰되지 않는 춤(삶)만이 내일을 가능하게 하는 힘일 것이다. 경계가 사라지고, 음악은 길을 잃었다. 풀어졌던 것이 다시 맺으며 제자리, 중심에 복귀하여 내일을 희망하는 형태의, 구심적 시점을 의미하는 그런 음악과 춤이어야 했다.
 군무진이 활갯짓을 하며 너울너울, 한 팔을 위로 들고 호흡을 툭 내려놓고 춘다. 허공에 들어 올린 손은 일상의 현실을 놓아 보내면서 사후의 빛나는 세계를 잠시 영접했다 배웅하는 손이다. 이 손의 순간이 뿜는 빛의 힘으로 이 겨울을 저 춤 그늘 아래 다른 세계의 특별한 시간을 잠시 누린다. 원을 만들며 추는 춤은 맺음 뒤에 다시 풀어내는 것으로, 춤을 따라 어디론가 가있던 관객들을 제자리로 돌려놓는다.




대구시립국악단 〈별신〉 ⓒ옥상훈




 대구시립국악단의 한국춤은 열정적인 안무가(장유경)의 춤 정신 앞에 그 잠재성을 드러냈다. 메기는 소리 없이 이어지는 ‘쾌지나 칭칭나네’는 안부를 묻는 인사와 부디 안녕하길 바라는 것에 대한 끝없는 염원이었다. 우리가 누려야할 춤의 방식과 존재의 가치는 오직 그 춤을 향한 열정에 있다는 것을 확인한 무대였다. 아직 알지 못하나 차후에 다시 만날 때 드러낼 춤이 기존의 가지고 있던 춤에 덧붙여지는 또 하나의 춤에 그칠지, 무용단이 가지고 있던 기존 춤의 형태를 모두 전복하고 춤에 대해 다른 시선을 열어주며 다른 춤의 언어가 자리 잡게 될지 모를 일이다.

 춤은 어떤 특별한 마음가짐과 믿음을 위해서만 춤의 앎이 성립한다는 점에서 그것은 시적이고 존재론적이다. 객원 안무를 맡은 장유경과 시립국악단과의 협업에서 중요한 것은 국악단이 가지고 있는 춤과 내용이 아니라 장유경이 국악단의 춤을 읽는 방식에 있었다. 장유경이 늘 새롭게 다져내는 춤의 발심과 그 끈질김에서 비롯하여 자신의 눈으로 시립국악단(무용단)의 춤을 읽어냈기에 그들에게 다른 방식의 춤을 입힌 것이다. 중요한 것은 춤을 뜯어보는 눈에 늘 새롭게 흥을 돋우고 그 춤을 때로는 깊게 때로는 엷게 오래도록 유지 하는 일이다.
 한 번의 협업으로 시립국악단의 연주와 춤의 정체를 규정하지는 못하지만 국악단의 춤을 다시 되돌아 볼만한 방식이었다. 〈별신〉 작업은 시립국악단의 춤길에 장유경이 가지고 있는 춤 열정과 춤자산을 더하여 대구시민들에게 바치는 위로이며 애씀이며 존경으로 보였다. 그리고 희망이 이 춤 기획 속에 들어 있었다.
 춤으로 위로받은 관객들이 무대에서 본 아름다움은 덤이었다.

권옥희

문학과 무용학을 전공했다. 자유로운 춤, 거짓말 같은 참말로 춤이 춤으로 진실(춤적 진실)을 말하는 춤을 좋아한다. 스스로 자유로워 사람들에게 위로를 주는 춤을 만드는 춤작가와 무용수들을 존경한다. ​ ​ ​ 

2020.12.
사진제공_옥상훈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