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한국 춤의 소통확대 방안 : 새로운 시대의 춤을 그리다

권옥희_본 협회 회원 / 춤비평

2012. 06.

 소통, 막히지 않고 서로 통하는 것, 이 말이 오늘날 우리 사회의 화두가 되고 있다. 정치 분야에서는 정치가와 국민 사이, 경제에서는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소통이 되지 않아 불신의 벽이 높아지고, 예술분야에서는 생산자와 향수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호 단절되고 고립되어 스스로를 소외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소통...

한국의 무용교육 비전을 위한 제안

오레지나_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2012. 06.

Ⅰ. 제안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하루에 사망하는 사람 671명 가운데 자살로 사망하는 사람은 33명, 즉 사망자 100명 중 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는 통계가 나온다. 또한, 낙태율은 신생아 1000명당 31명으로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다. 무엇이 이들을 죽음...

춤 취업 활성화를 위한 상상과 제언

김채현 _ 본 협회 공동대표 / 무용원 교수

2012.5.15

   취업(就業)이 국내외적으로 톱 이슈인 지금, 춤계에서도 취업은 어느 면에선 최대 관심사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춤계에서 취업은 그다지 공론화되지 않는다. 어쩌면 다른 예술 분야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일 듯한데, 그렇게 예술계 전반에서 잘 공론화되지 않는 이유를 여기서 굳이 상론할 일은 아니다. 아무튼 춤계 취업 문...

환경의 변화와 현금의 지역춤, 무엇이 문제인가

김태원_춤 비평 /「공연과 리뷰」편집인

2012. 05.

    1. 근래 춤환경의 변화의 모습들  국내 춤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지난 90년대 말, 특히 1998년경부터라고 본다. 이른바 김대중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1998~2002)가 탄생되면서 공공기관이나 문화예술 관련한 지원금의 정책의 변화가 따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1997년 IMF...

어느 춤 기업의 사례

김채현_본 협회 공동대표 / 무용원 교수

2012. 02.

1인 기업을 권장하는 세상이다. 차고에서 땀 흘리며 PC를 개발한 그 사람처럼, 1인 기업은 능동적 상상력과 헌신이 기업 창조의 생명력임을 말한다. 춤으로 1인 기업을 운영하는 사례로 대개 무용학원을 든다. 경향 각지에서 무용학원을 통해 입신한 사람도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춤으로 자기 직업을 다르게 창조한다면, 어떤 모델이 들어질까. 탭 댄서 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