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상상의 민족, 춤의 공동체

필리파 로스필드_호주 라트로브대학 교수 / 춤평론가

2012. 10.

   Ⅰ.  문화적 구성으로서의 민족 베네딕트 앤더슨에 따르면 민족(nation)은 상상의 정치 공동체입니다. “아무리 작은 민족이라도 그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을 거의 다 알거나 만나거나 심지어 들어볼 수도 없고, 그러면서도 각 구성원의 마음에 그 집단의 이미지가 살아있기” 때문에 상상의 공동체라는 것입니다...

장광열_한국춤정책연구소장 / 춤비평가

2012. 07.

Ⅰ. 최근 한국 춤계의 변화 양상        Ⅱ. 통계로 보는 함국 춤계 현황  1. 2011 공연예술 실태조사 주요 지표 ●2010년 한국 공연시장 규모는 약 5,493억원으로 추정. (공연시설 및 공연단체매출액 기준) ● 업체수는 3,034개. 이 중 공연시설은 820...

Policies for professional dancers's career transition in Korea

장인주_무용이론가

2012. 07.

 무용수의 조기 은퇴로 인한 문제는 무용이라는 예술장르가 활성화된 모든 국가가 공유 하는 세계적인 고민이다. 이에 따라 발레의 역사가 오래된 구미국가에서는 그동안 무용수 복지뿐 아니라, 은퇴 후 전직에 대한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왔으며, 몇몇 국가에서는 일찍이 무용수 직업전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센터를 설립했다. 1973년 설립한 영국의 ...

서울발레시어터 생존과 미션 since 1995

김인희_서울발레시어터 단장

2012. 07.

우리는 행복한가? 얼마 전 잡코리아에서 남녀직장인 1,709명에게 직업만족도 설문조사를 했더니 가장 행복할 것 같은 직업 1위로 ‘예술가’(18.7%)가 뽑혔다. 사람들이 예술가를 선망하는 이유는‘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 같아서’였다. 네델란드 화가이자 경제학자인 한스 애빙은 <왜 예술가들은 가난해야 할까?> 라는 책에서 'A...

송준호_공연 전문 기자

2012. 07.

 취업, 즉 '먹고 사는' 문제는 당연히 예술인에게도 중요한 문제다. 생계를 해결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적 기반이나 든든한 후원자가 없는 이상 예술인도 직업전선에 있는 노동자에 다름없다. 그래서 최근 예술인 복지법과 관련된 사안에서는 '예술노동자'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기도 했다. 특히 다른 장르와는 달리 '몸'을 매개로 하는 무용인의 경우 필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