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박학다식 하고 따뜻한 분

이만주_춤비평가

2012. 10.

 언제였던가는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때, 나는 런던에서 스코틀랜드의 에딘버러로 가는 기차를 타려고 하고 있었다. 정거장 안에서 현지인으로 보이는 반듯한 모습의 남자가 지나가길래 그에게 물었다.  “이 기차는 에딘버러 행입니까?”  “I hope so.”  나는 순간, 상대방의 대답에 당황해 하며 기차에 올랐다. ...

춤을 바라보는 ‘경계 없는’ 시선

김태원_「공연과 리뷰」편집인 / 춤비평가

2012. 10.

 이순열 선생님을 뵙기 시작한 것이 1987년 즈음인 것 같다. 당시는 1982년에 첫 조직된 ‘무용펜클럽’이 이름을 바꿔 ‘한국무용평론가회’로 개칭되면서 채희완 회장·김채현 간사를 축으로 춤평론가 모임이 정례화, 또 재조직되기 시작했을 때였다.  나는 그때 동료 이종호ㆍ김채현과 함께 신입회원이 되었다. 하지만 이때 선생님은...

나의 이순열 선생 私淑記

김채현_본 협회 공동대표 / 무용원 교수

2012. 10.

 1970년대 후반 이후, 잘 알고 있듯이, 이순열 선생의 춤 비평은 춤계에 파란을 일으켰다. 그 파란은 80년대 초반에 잠잠해진 것으로 보인다. 파란이 일어나지 않을 만큼 춤계 풍토가 성숙해졌거나, 아니면 선생의 비평이 뜸해진 때문인 것 같다. 그러다 1992년 ‘춤의 해’개막을 전후하여 선생은 또 다시 파란을 일으켰다.  근 40년 ...

춤 저널리즘과 크리티시즘, 모두에게 유익한가?

장광열_본 협회 공동 대표 / 춤비평

2012. 10.

 2012년 가을, 비평가 이순열의 글을 찬찬히 다시 보게 된 것은 예기치 않은 기쁨이었다. 문학 미술 음악 등 예술 전반을 아우르는, 선생 특유의 감각도 감각이지만, 한국의 춤 사회를 바라보는 열린 시각, 비평의 본질을 간파하는 시선은 정확하고 날카로왔다. 그것은 나에게 비평, 비평가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창작...

춤으로 하나 되는 우리

도널드 후테라_영국 저널리스트 / 춤평론가

2012. 10.

    ‘역사적으로 춤은 평범한 이들의 삶에서 항상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 버지니아 케네디 ‘사고하고, 느끼고, 움직일 수 있다면 당신은 춤을 출 수 있다’ – 닥터 파텔 1943 작년 이 자리에서 나는 미국과 영국 커뮤니티 댄스의 기원에 대해 이야기했다. 더 많은 공부와 경험, 성찰을 거치고 난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