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예술’이 배제된, 인기영합주의에 대한 경계
김혜라_춤비평가 2014. 03. 한 케이블 채널에서 방송된 춤 프로그램이 국내 춤계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계 전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춤계 또한 춤의 대중화라는 대명제에 동의하고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방송을 통한 춤 대중화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다각도로 논의해볼 시점이다. (편집자 주) 2013년 7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방영된 Mnet 채... |
![]() |
지원제도가 모든 것을 해결해 줄 수는 없다
박호빈_댄스시어터 까두 대표 2014. 03. <춤웹진> 2013년 12월호에서 비평가 이지현은 “춤 생태계는 건강한가”라는 제목으로 공공 춤 지원금 심사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춤 지원금 심사위원들의 책임감과 의식 등을 거론한 이 글은 심사위원의 자질과 지원금 심사방법 등과 맞물려 지원기관과 춤계에서 적지 않은 반향을 일으켰다. <춤웹진>에서는 지원심사와 관련된... |
![]() |
우리는 선택권을 빼앗겼다
김신아_아트 프로듀서 2014. 02. <춤웹진> 2013년 12월호에서 비평가 이지현은 “춤 생태계는 건강한가”라는 제목으로 공공 춤 지원금 심사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춤 지원금 심사위원들의 책임감과 의식 등을 거론한 이 글은 심사위원의 자질과 지원금 심사방법 등과 맞물려 지원기관과 춤계에서 적지 않은 반향을 일으켰다. <춤웹진>에서는 지원심사와 관련된 춤계... |
창작과 교육을 통한 무한한 발레 사랑
김순정_성신여대교수. 전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2014. 02. 한국의 1세대 발레리노 이상만 선생이 1월 8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66세. 1948년 충북 괴산 생. 한양대 무용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과정을 마치고 임성남발레단과 국립발레단 단원으로 활동했던 그는 1977년 미국 유학길에 올라 ‘내셔널 발레 일리노이’에 입단, 외국 발레단에 진출한 최초의 국립발레단 남성 무용수가 됐다. 1985년 자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