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공공 무용단 운영, ‘현장’에 답이 있다
2015. 05. 대한민국에는 현재 25개의 공공 직업무용단이 운영되고 있다. 한국춤비평가협회는 국내외의 급변하는 문화 상황 속에서 공공 무용단이 춤 발전에 막중한 책임이 있고 그에 걸맞은 역할을 해야 한다는 원론적 인식에서 4월 23일 '한국의 공공 무용단 운영,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현장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과 포럼 후 춤비평가들의 제언,... |
2015. 05. 갈림길: 자멸(自滅) 당할 것인가, 안에서부터 혁신할 것인가 - 공공 무용단 여론조사 이후(1) 김채현_춤비평가 지난달 국내 공공 무용단의 위기를 공공 무용단 운영자 스스로 반성하는 발언이 공개리에 있었다. 한국춤비평가협회가 4월 23일 개최한 2015 신춘 포럼 현장에서다. ‘한국의 공공 무용단 운영, 무엇... |
2015. 05. ■ 발제 1 공공무용단 운영실태 춤계 여론조사 결과와 진단 김채현_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지난 3월 하순부터 3주간 한국춤비평가협회는 공공무용단 운영실태에 대해 전화면담여론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발제문은 그 결과를 상세히 소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번과 같은 조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작업이라 생... |
동양적인 움직임의 원리를 찾아보겠다
2015. 04. 임진호는 한동안 이름만 있고 모습은 보기 어려운 무용수였다. 2013년 Kore-A-Moves 유럽투어에 동참했을 때 임진호 안무의 〈I go〉가 공연되어 선풍적 인기를 끌었음에도 현장에서 임진호의 모습은 볼 수 없었다. 자신이 무용수로 참여하는 작품이었으나 그 자리는 다른 선배 무용수가 메우고 있었고... |
아시아 무용가들의 교류 내세운 전략적 운용
장광열_<춤웹진> 편집위원 2015. 03. 2월 초 보름 동안에 걸쳐 일본에서는 3개의 무용관련 행사가 연속해서 열렸다. 후쿠오카댄스프린지페스티벌(2월 6-8일)과 요코하마댄스콜렉션(1월 31일-2월 15일), 요코하마공연예술미팅(TPAM, 2월 7-15일)이 그것이다. 축제, 경연, 마켓의 성격을 가진 이들 3개의 행사에는 일본 뿐 아니라 한국 중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의 안무가들과 세계 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