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 우리

공연을 일으켜 세울 데이터와 내러티브 자본

이단비_방송작가, 춤칼럼니스트

2022. 4.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급속하게 퍼지는 것이 16가지 심리 유형을 파악하는 MBTI이다. 카를 융의 초기 분석심리학 모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성격 유형 검사 도구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건 1980년대 말~90년대 초반. 심리검사에서 주로 사용돼 왔는데 최근 들어 열풍이라는 단어가 어울릴 정도로 널리 퍼졌다. 요즘 방송가와 OTT 채널들에서는 리얼...

한석진_무용학자, 큐레이터

2022. 2.

게임과 공연이 섞이는 현상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게임이 예술과 무관하다거나 게임을 하대하는 시각에선 그런 현상을 외면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게임과의 접속을 시도하는 공연이 점진적으로 시도되고 있고, 그런 공연에서는 게임에 대한 인식이 물론 긍정적이다. 이 같은 추세가 공연예술계 전반에서 주목받는 것은 시간 문제가 아닐까 한다.  지난 202...

‘스우파’는 무엇을 남겼나

이단비_방송작가, 춤칼럼니스트

2022. 1.

방송작가가 뽑은 2021년 방송가 10대 뉴스 중 하나로 ‘센 언니들의 예능 접수’가 선정됐다. 대표 프로그램으로 꼽힌 것 중 하나가 〈스트릿 우먼 파이터〉, 일명 ‘스우파’였다. 뜨거운 화제가 됐던만큼 프로그램 방영 이후 인기 출연자들은 여기저기 러브콜을 받으며 각종 CF에 등장하고 있고, 팬덤도 형성됐다. 현재 스우파의 인기...

당신의 아바타는 메타버스에 탑승했습니까

이단비_방송작가, 춤칼럼니스트

2021. 11.

보도 성격이 강한 방송 프로그램을 맡고 있다 보니 PD뿐 아니라 각 분야 기자들과도 작업을 하는데 어느 기자가 뜻밖의 고민을 털어놓는다. ‘아바타를 어떤 모습으로 만들까’라는 고민이었다. 모 기업에서 기자간담회를 메타버스 안에서 열기로 했다는 것이다. 아바타로 참여하는 기자간담회라니 생소하지만 재미있는 발상이었다. 지난 8월, SKT가 국내 ...

송준호_문화칼럼니스트

2021. 10.

코로나19 상황이 2년째 이어지면서 ‘비대면’은 문화계를 넘어 일상 전반의 필수 요소가 됐다. 근로와 학업 환경이 가장 먼저 온라인으로 옮겨졌고, 여가와 쇼핑도 자연스레 뒤를 이었다. 공연계를 포함한 문화예술계 역시 지난해부터 비대면으로 전환을 시도했는데, 이는 다분히 코로나19 종식을 고려한 임시방편의 성격이 짙었다. 하지만 최근 신규 확진...

1 2 3 4 5 6 7 8 9

select count(*) as count from breed_connected where ip = '216.73.216.37'


Table './dance/breed_connected'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