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 현장

원효 없으나, 있다

서성준_탈춤연구자

2024. 8.

극단 자갈치 마당극 50주년 기념 공연이자, 민족음악인 최태현 선생의 우리음악 50년 기념 헌정 마당극인 〈신새벽 술을 토하고 없는 길을 떠나다〉가 올여름 7월 14일 낮 신명천지소극장(부산 부곡동)에서 극단 자갈치와 민족미학연구소 주관으로 펼쳐졌다. 이 작품은 1996년 5월 17일 경주 분황사 앞 황룡사지 야외무대에서 ‘원효문예대제전...

마당극 〈신새벽 술을 토하고 없는 길을 떠나다〉
연출이야기

채희완_춤비평가

2024. 7.

어둔 동굴 속, ‘노래’가 한줄기 빛이었다, 무애가무행을 행할 때까지 한밤 중에 목말라 두 손으로 떠마신 달디단 물, 신새벽 깨어나니 해골 바가지에 썩어 문드러진 물, 심하게 토해내고 격렬한 몸반응으로 크게 깨치니, 물은 같은 물인데 마음 먹기 달린 것인가. 당나라 유학길을 접고 의상대사와 헤어져 가던 길을 되돌아오는 44살 원효스님의...

〈춤의 세계사〉 서문, 춤생성론의 물음 · 춤생성미학적 접근

채희완_춤미학자

2024. 6.

1. 무엇이 춤을 추게 하는가: 춤에 향한 생성론적 물음 무엇이 춤을 추게 하는가. 살아있음입니다. 살아있음을 가능케 하는 것은 무엇인가, 생명입니다. 민족음악학자이자 춤인류학자인 쿠르트 작스(Curt Sachs 1881.6.29. 베를린 생 ~ 1959.2.5. 뉴욕 졸)는 그의 책 〈춤의 세계사〉(1937년, 한글번역판 풀빛출...

생애 첫 안무 시작 젊은 예술가들의 ‘모심기’ 현장

김혜라_춤비평가

2024. 6.

모든컴퍼니의 예술감독인 김모든이 기획한 신진안무가 발굴 육성 프로젝트 〈모내기〉(5.16.서강대메리홀) 공연현장을 찾았다. 품질 좋은 벼로 자라기 위해 필요한 ‘모내기’ 과정처럼, 김모든이 신진을 발굴하여 공연 기회를 마련한 장이다. 나로서는 안무가로 성장중인 자신의 작업이 아닌 신진들의 생애 첫 작품을 지원하려는 의도가 궁금한 부분이...

신전통춤의 진가, 그 축제

권옥희_춤비평가

2024. 5.

어떤 충격이 없이도 춤은 아름다웠다. 그 아름다움을 느끼기 위해 감각을 왜곡하거나, 특별한 미학적 이유를 댈 필요가 없었다. 감각이 (도시적)경계심을 풀고 유연성을 되찾았기 때문이다.(이 말을 하면서도 불교식으로 말하자면 분별심이, 본래적인 말을 여전히 가로막고 있다.) 대구문화예술회관 기획초청으로 올린 윤미라의 〈무악지우舞樂...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select count(*) as count from breed_connected where ip = '216.73.216.112'


Table './dance/breed_connected'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